
안녕하세요
오늘 사진 기초 이론은 조리개로 결정하고 올려 봅니다
사진노출의 3가지 요소중 하나이구요. 다음주에는 ISO에 대한 자료를 올려 보려 합니다.
해당 자료는 아래의 참고문헌에서 자료를 가져와 짜집기한 겁니다 중복된 내용도 있어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문제가 생기면 삭제할수도 있습니다)
조리개
조리개는 인간의 홍채에 해당하는 카메라 렌즈에 있는 장치로 빛을 받아들이는 양을 조절,
카메라에 들어오는 빛의 양과 심도를 조절하는 렌즈의 입구입니다.
조리개 값은 카메라에서 F값으로 표시됩니다.
조리개 값이 낮을 수록 카메라에 들어오는 빛이 늘어나고, 심도가 낮아지며 배경은 흐려지고, 반대로 조리개 값이 높으면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 심도가 높아지고 배경이 선명해집니다. 그래서 어두운 곳이나 밤에 촬영하기 쉬워지고, 카매라 촬영자들이 흔히 F수치가 낮을수록‘조리개를 개방한다’고 하고, F수치가 높을수록 ‘조리개를 조인다’고 부릅니다.
렌즈의 역할
1. 빛이 들어오는 크기를 조절하는 것
2. 빛이 들어오는 시간을 조절 하는 것
조리개의 역할(단순 정리)
1. 어둡거나 밝게 촬영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기능
2. 초점영역을 조정하는 기능
숫자가 작으면 구멍이 크가 숫자가 크면 구멍이 작다
조리개 F값 계산
F값이란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리개의 유효 직경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35mm F1.4 G 렌즈의 조리개를 최대인 F1.4로 설정할 경우 조리개의 유효 직경은 35 ÷ 1.4 = 25mm가 됩니다. 렌즈의 초점 거리가 달라지면 해당 F값의 조리개 직경 역시 변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300mm 망원 렌즈의 조리개가 F1.4라면 유효 구경 직경으로 300 ÷ 1.4 = 214mm를 사용해야 합니다. 결국 부피가 큰 고가의 대형 렌즈여야 하는데 이 때문에 대형 최대 조리개를 갖춘 장거리 망원 렌즈는 별로 없습니다. 사진사가 실제 조리개 직경을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이 원칙을 이해한다면 장비의 구매등에 유용하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조리개가 F1일 경우 100%의 빛이 들어온다면 F1.4일 경우 50%줄어들게 됩니다.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든 만큼 셔터스피드 시간을 길게 하면 같은 양의 빛이 들어옵니다.
예를 들면 조리개값이 F8, 셔터스피드가 1/30초라면 흔들리는 사진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F5.6으로 빛을 2배 더 들어오게 한다면 안정된 셔터스피드라 할 수 있는 1/60초가 확보될 수 있습니다.
조리개값은 F1.4, F2,F2.8,F4,F5.6,F8,F11,F16,F22가 기준인데, 어떻게 기준이 나오는 것일까요? 제곱을 하면 의문이 풀립니다. 2의 배수로 올라가는 것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카메라 렌즈에 대한 내용입니다.
참고사항으로 참고만 해주세요.. 조리개에 대한 내용도 있어 적어봅니다.

위 사진처럼 카메라 렌즈를 보면 E 3.5-5.6/PZ 16-50 OSS라는 숫자가 보입니다.
어느 카메라나 비슷한 숫자는 다 적혀 있습니다. 하지만 이 숫자의 의미가 도대체 무언지 그 의미조차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앞의 숫자는 조리개값, 뒤의 숫자는 초점거리를 나타냅니다.
초점거리가 짧으면 시야가 넓게 보여지고, 초점거리가 길어지면 멀리 있는 것도 또렷하게 보입니다. 카메라 렌즈를 구분하는 기준은 50mm보다 작은 렌즈면 광각렌즈, 반대로 크면 망원렌즈라고 부릅니다. 촬상면이 35mm라면 1:1 풀프레임이라고 하며, 24mm정도면 1:1.5크롭이라 부릅니다.
좀 더 쉽게 풀어쓰자면 35mm필름카메라를 기준으로 35mm 1:1풀프레임 센서일 경우 35mm필름을 쓴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24mm 1:1.5크롭 센서의 경우 35mm 풀프레임이 아닌 2/3정도 크기인 24mm필름을 쓴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좀더 편하실 것입니다.
촬상면이 작기에 똑같은 것을 찍는다면 초점거리가 1.5배 짧아집니다.
보급형 DSLR이 고급형 DSLR보다 크기가 작은 이유는 촬상면이 작은 것도 있지만 초점거리가 짧기 때문임 똑같은 렌즈일 경우 초점거리가 같기에 1.5배 망원이 됩니다.
이런 이유로 보급형 DSLR은 35mm 기준으로 짧으면 광각, 길면 망원이 되는 것입니다.
예: 200mm망원렌즈를 보급형(크롭센서 기준)DSLR에서 사용한다면 300mm의 망원렌즈 효과가 생깁니다.
위의 글들은 아래의 참고문헌에서 발췌하여 약간의 수정을 거친 후 올리는 글입니다.
참고문헌(사이트)
카메라의 원리 5 - 조리개 (tistory.com)
사진 촬영의 기초 조리개 값과 노출 차이 이해하기 (adobe.com)
밝은 사진 만드는 3박자, 조리개, 셔터, ISO (donga.com)
카메라 조리개(Aperture) 이해하기 - 노출, 심도, 빛 갈리짐 조절 (tistory.com)
촬영의 조리개 및 심도 | Sony KR
f/18~f/40과 같은 작은 조리개 값으로 사진을 찍는 것을 피해야 하는 이유 (lightroom.kr)
초보자를 위한 사진강좌 1탄! 조리개 값의 의미? (tistory.com)_
https://ey2s0nm2.tistory.com/entry/%EC%B4%88%EB%B3%B4%EC%9E%90%EB%A5%BC-%EC%9C%84%ED%95%9C-%EC%82%AC%EC%A7%84%EA%B0%95%EC%A2%8C-1%ED%83%84-%EC%A1%B0%EB%A6%AC%EA%B0%9C-%EA%B0%92%EC%9D%98-%EC%9D%98%EB%AF%B8
밝은 사진 만드는 3박자, 조리개, 셔터, ISO (donga.com)_https://it.donga.com/13706/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 (brunch.co.kr) _ https://brunch.co.kr/@cch60/13
DSLR 아웃포커싱을 하고 싶다고? 조리개를 이해해 봐 (brunch.co.kr)
카메라 조리개값의 이해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사진 이야기 > 사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 적인 사진 촬영 방법(26가지) (1) | 2023.01.20 |
---|---|
사진기초3 사진DSLR ISO (0) | 2023.01.17 |
조리개별 아웃포커싱사진... 아래 아웃포커싱설명참조 (0) | 2023.01.07 |
사진기초1 아웃 포커싱 (0) | 2023.01.04 |
사진 수정 전과 수정 후의 모습 (0) | 2023.01.02 |